지식창고 2008. 2. 11. 22:42


The History of Shopping (Carts)
쇼핑(카트)의 역사







종이 쇼핑백
image courtesy designboom.com




철망 바구니와 그 위에 천을 씌운 철제 바구니
image courtesy designboom.com


실번 골드먼이 고안한 첫 번째 쇼핑 카트
image courtesy designboom.com


텍사스의 '캐스퍼(Kasper) 사가 제조한
비슷한 형태의 카트
image courtesy designboom.com


골드먼의 선전용 포스터, 피곤해 보이는 한 여성이
한 손에는 지갑을, 다른 한 손에는 무거운 시장바구
니를 들고 있다.
image courtesy designboom.com


'보세요, 다들 쇼핑 카트를 쓰잖아요. 당신도 써보세요',
여성 모델이 골드먼의 상점을 돌면서 새로운 발명품을
밀며 얼마나 유용한 제품인지 실연해보이고 있다.
image courtesy designboom.com




텔레스코프 사의 이중 바구니 카트 브로셔, 1947~1948.
ⓒ Archives Center, National Museum of American History,
Behring Center, Smithsonian Institution



올라 E. 왓슨의 카트 오리지널 드로잉.
ⓒ Archives Center, National Museum of American History,
Behring Center, Smithsonian Institution


올라 E. 왓슨의 끼워 넣는 카트 오리지널 드로잉.
ⓒ Archives Center, National Museum of American History,
Behring Center, Smithsonian Institution


25개가 겹쳐진 쇼핑 카트, 1947년
ⓒ Archives Center, National Museum of American History,
Behring Center, Smithsonian Institution


텔레스코프 사의 모터식 리프트 카트. 바구니를 자동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1947~1948,
ⓒ Archives Center, National Museum of American History,
Behring Center, Smithsonian Institution


단일 바구니 카트의 초창기 모델
image courtesy designboom.com


1950년대의 카트 부속품, 이 음료수병 홀더는
쇼핑 카트 핸들 부분에 걸게 되어 있다.
image courtesy designboom.com


1950년대 카트 부속품-유아용 의자
image courtesy designboom.com





The History of Shopping (Carts)
쇼핑(카트)의 역사





글: 비르지트 로만(Birgit Lohmann)

1 단계: 도이브너 쇼핑 백(Deubner shopping bag)


발터 H. 도이브너는 미네소타 세인트 폴에서 작은 식료품 가게를 운영하던 사나이였다. 이윤을 좀 더 늘릴 방법을 궁리하던 그는 꼼꼼한 관찰 끝에 손님들이 집에 가져갈 수 있는 분량만을 구매한다는 사실을 알아챘다. 그리고는 어떻게 하면 손님들이 한 번에 더 많은 물건을 사가게 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기 시작했다.


4년의 고민 끝에 그는 마침내 해결책을 찾아냈다. 상점 안에 비치되어 있으며, 제작 비용이 저렴할 것. 또한 사용하기에 편리하면서도 많은 상품을 넣어도 거뜬한 것.

이 모든 조건을 충족시키는 종이 백이 드디어 탄생하게 되었다. 보다 튼튼해야 했기 때문에 봉지의 형태를 잡는 이음새마다 노끈을 덧대었다.

도이브너는 이 발명으로 특허를 얻었고, 1915년까지 3년에 걸쳐 식료품 대신 백만 개가 넘는 쇼핑 백을 판매했다.

경제공황의 압박에 처한 소매상인들은 동전 한 닢까지도 아껴야 했다. 슈퍼마켓들은 구식의 가게들이 제공했던 특정 서비스들, 가령 외상이나 배달을 사절하면서 상점은 크게, 가격은 낮게 유지해갔다. 손님들은 역시 과거 전통적으로 점원이나 가게 주인이 권하는 상품을 사는 대신, 자신들의 필요에 따라 쇼핑을 하게 되었다.


2 단계: 철망 바구니

그때까지 대다수의 상점들은 고리 버들로 만들어진 바구니를 사용해왔는데, 드디어 철망 바구니(나아가 철망에 천까지 씌워진 우아한 버전의 바구니까지)가 등장하게 되었다.

사실 이 바구니는 물건을 많이 담으면 무거워지게 마련이었다. 특히 식료품을 사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인 여성들이 들기에는 더욱 그러했다. 더군다나 소비자들은 바구니가 너무 꽉 찼다 싶을 때 쇼핑을 그만두는 경향이 있었다.

손님들이 무거운 바구니를 들고 다니며 고역을 치르지 않으면서도, 상품 판매량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한꺼번에 두 개의 쇼핑 바구니를 손쉽게 쓸 수 있다면?


3 단계: 철망 바구니 두 개를 손수레 위에 올리다

최초로 등장한 쇼핑 카트는 오클라호마 시에서 '피글리-위글리'라 불리던 식료품 상점 체인을 소유하고 있던 실번 골드먼(Sylvan Goldman)의 발명품이라고 알려져 있다. 1930년대 후반에 만들어져 1940년에 특허를 획득한 골드먼의 이 카트는 접이식 의자에서 영감을 얻은 것이다. 말하자면 그는 현재의 카트를 미리 예견했던 셈이다(쇼핑 카트를 쓰게 된 이래, 우리는 카트의 바구니들이 서로 포개어지게끔 디자인되었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이렇게 되기까지 각 세부의 부품 역시 세밀하게 다듬어져 왔다).

접이식 의자를 생각해보자. 의자의 자리가 몇 인치만 더 높아지고, 또 다른 의자가 아래 쪽에 하나 더 첨가되면 각각의 자리에 바구니를 하나씩 놓을 수 있게 된다. 의자의 다리에 바퀴들을 달아놓는다면 의자를 밀면서 쇼핑을 할 수 있을 테고, 의자의 등받이 역시 카트의 손잡이로 바꿀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첫 번째 시도는 참혹한 실패를 맞이한다. 카트는 툭하면 저절로 접혀버렸고 뒤집혀버리기 일쑤였다. 이후 골드먼은 기계공이었던 친구 프레드 영과 함께, 1947년 다시 한 번 쇼핑 카트를 디자인했고, 카트의 제조와 판매를 위해 '접이식 바구니 제조회사'를 설립했다(1961년 골드먼이 회사를 판 이후 경영자는 여러 차례 바뀌었고, 이후 그의 특허권은 만료되었다. 현재 이 회사는 UNARCO 인더스트리에 속해 있다).

'보세요, 다들 쓰잖아요. 당신도 써보시지요?'

일단 골드먼의 발명품이 실용적으로 문제가 없게 되자, 당면한 문제는 카트를 소비자에게 '파는' 일이었다. 발명품이 당장 유행을 하지는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판매는 카트의 발명만큼이나 어려웠다. 소비자들은 카트를 별로 내켜 하지 않았다. 남성들은 “남자가 어떻게 저런 걸 밀어? 이 팔뚝을 보라고. 내가 저 바구니도 못 들게 생겼단 얘기요?”라고 생각했고, 여성들은 카트가 유모차를 연상시킨다고 생각했다. “유모차 덕분에 일생에 밀만큼 밀어왔는데, 또 뭘 밀고 다니란 말이야?”

하지만 골드먼의 발명품이 기민하고 창의적이었던 만큼, 골드먼의 기업가이자 상인으로서의 재능 역시 놀라왔다. 그는 다소 피곤해 보이는 여인이 한 손에는 지갑을, 다른 한 손에는 무거운 시장 바구니를 들고 있는 포스터를 만들어 자신의 신상품을 광고하기 시작했다.

포스터에는 굵은 글씨로 '바구니 저글링: 당신이 쇼핑할 때마다 펼치는 난감한 기예'라고 적혀있었다. '최신식 쇼핑 발명품을 당신의 단골 상점에서, 바로 지금 사용하세요'라고 강조한다. 그리고 나서 광고는 '넓은 식료품점에서 거추장스러운 쇼핑 바구니 대신, 단지 사고 싶은 물품을 선반에서 골라 그것들을 카트에 옮겨만 놓고 통로를 누비는' 즐거움을 묘사한다.

골드먼은 영리하게도 상품의 광고에 상품의 이름을 언급하지 않았다. 자신이 소유한 식료품 체인점들 주변에 새 발명품을 선전하고, 카트의 유용함을 실연해 보이는 몇몇 남녀 모델을 고용하자 마자 쇼핑 카트는 엄청난 인기를 끌었다. 이후 슈퍼마켓들은 쇼핑 카트에 맞게끔 상점의 공간을 재구성해냈고, 골드먼은 백만장자가 되었다.


4 단계: 서로 포개지는 카트의 등장

1947년 이 획기적인 발명품이 생겨나면서, 카트는 이제 각각의 바구니를 접거나 쌓아 올리는 대신 스푼처럼 일렬로 서로 포개지게 되었다. 그 비결은 바구니 뒷면에 경첩을 장착하는 데 있었다. 위로 여닫게 할 수 있는 경첩을 달고, 바구니의 앞쪽이 뒤쪽보다 작아지는 형태로 디자인하면 여러 개의 카트들이 일렬로 서로 끼워져 보관이 훨씬 용이해진다. 바구니는 이제 철사를 용접한 그물 형식으로, 카트의 프레임은 강철관으로 만들어지게 되었다.

덕분에 점원들은 쇼핑 카트를 단번에 밀고 다닐 수 있었으며, 소비자들은 정렬된 카트 더미에서 하나만 살짝 꺼내어 사용하게 되었다. 이 포개지는 바구니가 두 개 달려있는 카트는 미주리 캔자스 시에 사는 올라 E. 왓슨(Orla E. Watson)이 발명했다고 알려져 있다.

그녀는 1946년 9월에 특허를 위해 서류를 제출했다. 이 카트의 제조, 유통, 판매를 위해 그녀는 두 명의 동료와 '텔레스코프 카트(Telescope Carts inc.)'라는 회사를 설립한다. 그러나 제조업자들이 기대한 수준만큼의 카트를 만들어내지 못하면서 제작과 판매에 있어 난항을 겪는다. 결국 왓슨이 특허 신청 결과를 기다리는 동안, 다른 제조업자들이 그 틈을 파고 들었고, 곧 이어 접이식 카트는 무면허 판매자에 의해 생산되어 팔려나갔다.


파워 리프트 카트도 반짝 등장했다

계산 과정을 도와주는 리프트가 카트에 장착되어 있어, 스위치를 한 번 누르기면 바구니가 상하로 움직여, 바구니를 계산대 높이까지 올려준다.


5 단계: 단일 바구니 카트의 등장

그 동안 두 개의 바구니를 달고 있는 카트가 사용되어왔는데, 드디어 보다 큰 하나의 바구니만을 단 카트가 등장했다. 이것이야말로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카트와 가장 유사한 형태를 하고 있다.

왓슨과 거의 비슷한 시기에 골드먼 역시 그물로 된 바구니 하나짜리 카트를 만들어 '네스트 카트(Nest Cart)'라고 이름 지었다. 그는 1949년 특허 서류를 제출했으나, 몇 번의 소송 이후 결국 골드먼은 자신의 신청을 철회하고, 왓슨의 특허권 획득에 동의하고 만다.


현재의 카트 형태로까지, 그 진화의 양상

 

베이비 붐 시대, 카트에 유아용 의자가 설치되었고, 1954년에는 어느 상점의 카트인지 쉽게 구별할 수 있는 표식이 부착되었다. 이는 소비자들에게 지금 당신이 어느 체인점에서 쇼핑하고 있는지를 쉽게 상기시키는 광고이기도 했다. 그리하여 카트의 손잡이에 색을 입혀 개별 상점의 이름을 인쇄하는 방식이 도입되었다.


1955년, 베어링 바퀴가 사용되기 시작했는데, 이로써 바퀴에 기름을 칠 필요 없이, 카트가 부드럽게 굴러가게 되었다. 1960년에는 바닥에 자국을 내지 않는 고무 바퀴가 나왔고, 1960년에는 자동문이 발명되었다.


방향을 바꿀 수 있는 회전식 바퀴가 처음으로 사용된 것은 1961년의 일이다. 덕분에 바퀴가 항상 어딘가에 부딪히던 문제점이 해소되어 카트의 수명이 늘어나게 되었다. 대부분의 카트들은 오늘날처럼 바퀴 네 개짜리로, 어떤 방향으로든 쉽게 운전할 수 있게 만들어졌다. 그러나 바퀴들 중 하나라도 꼬인다면, 카트를 밀고 다니기란 참으로 곤란해진다. 그래서 어떤 카트들은 회전식 바퀴를 앞쪽에만 장착하고 뒷바퀴들은 고정식으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더불어 1962년, 주변 환경과 거친 사용자들 때문에 쉽사리 지저분해 지던 카트의 외장을 보호하기 위해 아크릴을 도금하게 되었다.


쇼핑 카트의 형태 상에서 나타나는 진화의 양상은 바구니 크기의 변화에서도 나타난다. 바구니의 크기는 점차로 커져갔고, 이는 판매자들의 요구에 의한 것이었다. 앞서도 언급되었듯, 바구니 크기가 커질수록 판매량 역시 커졌기 때문이다.


곧이어 상점들은 카트의 용이한 관리를 위해 또 하나의 시스템을 고안해냈다. 반듯하게 정리된 카트들이 있고, 카트를 사용하려는 소비자들은 손잡이 부분에 달려있는 카트간 연결 고리에 동전을 넣어야 한다. 이로써 정리된 일련의 카트들로부터 사용할 카트만을 꺼낼 수 있게 되고, 쇼핑이 끝나면 자연스럽게 카트를 정돈하게 된다. 다시 카트의 체인에 사용한 카트를 밀어 넣고 동전을 돌려받음으로써 말이다.




쇼핑 카트 역사에 남을 발명품들


'자이언트 이코노미 사이즈' 카트, 커트 월레버(Curt Wohleber)
http://www.inventionandtechnology.com


접이식 쇼핑 카트 컬렉션, 1946년-1983년
http://americanhistory.si.edu/archives/d8739.htm
http://americanhistory.si.edu/ archives/d8739.htm

쇼핑 카트, 존 H. 리언하드(John H. Lienhard)
http://www.uh.edu/engines/epi995.htm

쇼핑관련 발명품들, 메리 벨리스(Mary Bellis)
http://inventors.about.com/library/inventors/blshopping.htm

혁신적인 발명가들의 갤러리
http://www.sil.si.edu/.../ doodles/innov_watson.htm

실용품 박물관에서 열린 쇼핑 카트 전시
http://www.themut.com/exhibits/basketexhibit.htm

posted by 포크다이너
: